[스크랩] 공복에 삼가야 할 과일
◆공복에 삼가야 할 과일◆
토마토 펙틴 가용성수렴제등 성분이많고 위산과의 반응이
쉬우며 용해가 쉽게 되지 않은 물체를 형성하여 위의 출구를 막으며 위안의 암력을 높여 급성
위확장을 초래하여 위의 소화를 늦춘다.
귤 당분과 유기산이 많아 공복에 먹으면 위점막을
자극하여 위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비장과 위에 불리하다.
파인애플 공복에 먹으면 위벽이 쉽게 상처를 입는다.
검정대추
펙틴과 타닌산이 많아서 위산과 결합하기 쉬워,
취침전에는 많이 먹지 말아야 하며 위와 장이 안 좋으면 식용하지 않은것이 좋다. 여지 lychee, lichi, leechee라고도 씀.
무환자나무과(無患子─科 Sapindaceae)의 교목인 여지(Litchi chinensis)의 열매.
중국과 그 인접 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된다. 1년 내내 밝은 녹색을 띠는 잎이 빽빽하게 달려 아름다운 수관(樹冠)을 이룬다. 잎은 겹잎으로 2~4장의 잔잎이 쌍으로 달리는데, 타원형에서 창 모양까지 다양하며 잔잎의 길이가 5~7.5㎝이다. 꽃은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줄기 끝에 느슨하나 다양하게 달리는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이 꽃차례는 길이가 30㎝ 정도에 달하기도 한다. 무리지어 맺히는 열매는 넓은 타원형에서 둥근 것까지 있으며, 딸기빛이 도는 붉은색이고 지름이 약 25㎜이다. 열매의 겉껍질은 부서지기 쉬우며 수분이 많고 반투명한 흰색의 과육과 1개의 큰 씨를 둘러싸고 있다. 열매는 날것으로 먹거나 통조림으로 만들며 또는 말려서 상업용 여지로 만든다. 신선한 과육은 사향 같은 맛이 나는데 마르면 시고 매우 달다.
중국 광둥인은 아주 옛날부터 이 열매를 즐겨 먹었으며, 1775년 자메이카에 전해지면서 서반구로 도입되었다. 플로리다에서는 이 나무를 상업적으로 중요하게 재배했는데, 1916년 첫 열매가 익은 것으로 전해진다. 지중해 연안지역, 남아메리카, 인도의 많은 지역, 하와이 등지에서는 적은 양이 재배되고 있다. 씨와 공중취목(空中取木)으로 번식한다. 과수원으로 옮겨 심을 때는 7.5~10.5m 간격을 두고 심는다. 가끔 가지치기를 해주며, 재배할 때 특별하게 주의하지 않아도 되지만 뿌리 주위에 자주 많은 물을 주어야 한다. 3~5년이 지나면 열매가 맺힌다.
당분이 많아 공복에 먹으면 위통 비장과 위가 불어진다. 분량을 초과하여 먹으면 혼미상태에 처해 있을수도 있다.
감 공복에 먹으면 구토와 위확장, 위궤양,
가슴앓이등 현상이 나타날수도 있다.
바나나 공복에 많은 량의 바나나를 먹으면 인체 혈액속의
마그네슘과 칼슘의 비례가 평형을 잃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