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과 슬로우시티의 토크 정가공연 "시조놀이 하세"
문현님(국악성악인(시조창)/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음악학)/ 국립국악원 정악단 지도단원) 시조공연(2013.7.23)
♣ 공연제목 : 문현과 슬로우시티의 토크 정가 공연"시조놀이 하세" 두번째
♣ 장소 : 성균소극장
- 반주 : 김현숙(대금), 홍창남(장구)
- 특별출연 : 노희정 (시낭송), 정수경 ( 크로스오버 아티스트)
1. 가사 춘면곡
2. 남창지름시조 "홀문창외"
3. 가사 매화가
4. 우조시조 "봉황대상"
5. 사설지름시조 "학타고"
6. 관객과 함께하는 가투(시조)놀이 재현과 평시조 부르기
아주 자그마한 소극장이다. 매주 화요일 저녁 3회에 걸쳐 공연한다.
지난 4월 코리안아쉬람 음악회 초청에 기꺼이 응해주신 문현님의 고마움에 또 시조 창 소리가 너무 좋아 이번 문현님 단독 정가공연 을 다녀왔다. 요즘세상에 웬 시조냐? 하겠지만 재미로만 따지면 그렇지만 웬 걸 그래도 올사람은 온다. 어렸을 적 할아버지가 시조하는 걸 들었지만 이제와서 새삼스럽다. 음률이 평이하고 길게 늘어지고 딱 자장가 소리다. 내 바로 옆 좌석에 나이 지긋한 스님 한분은 곧 잘 문현님 소리에 같이 읊조린다. 출연자 일일히 소개시켜 주면서 나에 대한 소개도 잊지 않으셨다.
문현은,
한양대 대학원에서 국악학 석사학위(학위논문 제목: 사설지름시조의 음악구조-임기준 傳唱을 중심으로)를,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예술전공(음악학)으로 문학박사 학위(제목: 平時調의 唱制別 음악적 특징 연구)를 취득.
198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보유자: 이양교)부문으로 정식 장학전수생으로 등록되어, 1991년 이수자가 되어 현재에 이름.
2009년도에는 정가와 관련 있는 또 다른 장르인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종묘제례악 악장으로 전수자가 되어, 2011년에 이수(이수자).
2013년도에는 문현과 슬로우시티(Moon Hyun & the Slowcity)라는 프로젝트 국악그룹을 결성하여 전통 정가와 창작 음악 알리기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으로, 지난 3월 영국 더럼대학교에서 정가 공연을 가진 바 있다.
<대표 연주>
1994년 9월 문현, 이두원 2인 가곡, 가사, 시조 발표회(국립국악원 소극장)
1998년 11월 17일 문현의 가사, 시조 발표회 “형산의 박옥같이” (국립국악원 우면당)
2005년 11월 2일 문현의 창작시조음악회 "시조, 도시를 걷다" (모차르트홀)
2006년 8월 31일 국립국악원 제277회 목요상설-문현의 창작시조음악회
"시조, 도시를 걷다Ⅱ"(국립국악원 우면당)
2007년 6월 16일 전통가곡연구회 주최 2007 남산골풍류음악회 “박문규, 문현의 가사발표회”
(남산골한옥마을 박영효 가옥)
2009년 10월 1일 옛 선비노래를 인접장르로 푸는 문현의 세번째 창작노래음악회
<슬로우 시티(slow city)>(서울남산국악당)
2010년 3월 23일 국립국악원 주최 제594회 시대공감 열린무대-명인창무전 <문현, 이정일>
문현의 경제시조 발표회 Ⅱ “가투(歌鬪)”(국립국악원 우면당)
2010년 3월 26일 겨울날의 국악여정 금요상설무대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향연
문현의 경제시조 발표회 Ⅲ "학타고 저불고"(서울남산국악당)
2010년 5월 19일 이야기와 배우기가 있는 문현의 경제시조 발표회 Ⅳ "가투 2"(두리춤터)
2010년 11월 24일 2010 송년음악회-문현의 여덟번째 시조창발표회 "도심속 풍류시인"
(춘원당한방박물관문화공간)
2011년 12월 2일 문현의 아홉번째 음악회-윤금초시인과 창작정가 "뜬금없는 소리"(올림푸스홀)
2013년 7월 16, 23, 30일 2013 성균소극장 화요상설-문현과 슬로우시티의 토크 정가 공연 "시조놀이 하세"(성균소극장)
<독집 음반>
문현의 京制時調 “荊山의 璞玉같이” CD 1매(Polyphony Classics, 1999)
국악FM방송 2004 새음원시리즈1 “문현의 시조” CD 1매(2004 녹음완료)-미발매
문현의 창작노래 "시조, 도시를 걷다" CD 1매(서울음반, 2005. 5)
문현의 창작노래 Ⅱ "슬로우 시티" CD 1매(신나라, 2009. 10)
<저서>
음악으로 알아보는 시조(민속원, 2004)-문화관광부 추천 2005년도 우수학술도서 선정
명인이 전하는 평시조, 사설시조(민속원, 2004)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기록화 작업-가사(문화재청, 2009)
<논문>
“현행 가곡, 가사, 시조의 창법 연구-요성을 중심으로”, “고음반에 전하는 가곡, 가사, 시조의 음향자료 연구” 등 논문 수십편
<수상>
KBS, 삼성문화재단 공동주최 제10회 서울국악대경연 정가부문 장원(1999)
2004 KBS 국악대상 가악부문(2004)
<음악으로 알아보는 시조>(민속원, 2004)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2005)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예술가의 장한어머니상 국악부문 수상(2011)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1999, 2011)
<기타 경력>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악장)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 전례사
한국국악학회(회장: 이동복) 회원
(사) 배뱅이굿 보존회 자문위원
(사) 한국국악협회 시조분과 회원
성신여대 음악교육대학원 및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 국악미디어과 강사
국립국악원 온나라 국악경연대회, 동아국악콩쿠르, 한국국악협회, 경기국악제 전국경연대회, 서울,부안,경산,전주,광주 등 전국시조경창대회, 전주대사습 시조부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등 심사위원
<음악교육연구>, <한국음악연구> 논문 심사위원
인천시 무형문화재(남경우 시조), 전라북도 무형문화재(김영희 완제시조 및 나순철 가곡, 이선수의 가곡), 서산시 무형문화재(박선웅 서판시조) 심사위원
예술경영지원센타 주관 2008년 전통예술 해외홍보 통합 음반 <Into the Light : World Music of Korea>에 선정 수록(달시조 1곡)
예술경영지원센타 주관 2011년 전통예술 해외홍보 통합 음반 <Into the Light : Music of Korea Ⅳ>에 선정 수록(푸른산중하에, 사랑이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