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대로 지은 흙집을 관찰하는 방법을 나름대로 제경험으로 적어봅니다.
(1) 가급적이면 지은지 1년이 지났고 겨울에 관찰하면 윗풍을 알수가 있습니다. 흙과 목재의 수축으로 눈에 보이는 벽면 외풍은 유지보수가 쉬워 관리를 하기가 쉽지만 지붕의 서까래사이 틈이나 단열마감 미숙으로 웃풍이 많이 생길수가 있습니다. 관찰할때 실내의 공기상태를 주의를 기울려 한번맡아 보고 냄새가 어떤지 유념하셔야 합니다.
(2)외벽을 살필때 동쪽이나 남쪽벽면보다 음지인 북쪽이나 서쪽벽면을 잘보시기 바랍니다.
여름습기보다 겨울습기가 외벽에 많은영향을 줍니다. 외벽습기에 대한 방지책을 안세우면 겨울습기때 흙벽이 습기를 흡수하여 추우면 벽면이 얼면서 찬기운이 안쪽으로 전도 됩니다. 외벽두께가 얇으면 내부에서 벽면에 손을 대어 보면 벽이 얼음창처럼 차갑습니다. 날씨가 풀리면서 녹으면 어떤현상이 일어날까요...
(3)외벽색깔이 붉은색이나 분홍빛이 나면 기성황토몰탈을 사용한것이고 표면이 반질거리고 노란빛이 많이 나거나 손톱으로 긁어서 너무딱딱하면 황토드라비트나 스타코를 바른것일겁니다.
(4)내부황토벽면 노출상태인경우 손을 문질러서 묻어 나오면 마감이 잘안된상태입니다.
목재와 황토벽면 접촉부위에 손을 대어보면 외풍이 들어오는것을 느낄수가 있습니다.
(5)목재를 뼈대로 황토흙집을 지은집은 가로간목재(임방 중방 도리)가 처짐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하고 문폭이 넓은경우는 문을 열어보고 움직임이 원활한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6)실내를 걸어다닐때 바닥이 물컹대면 종이장판을 깔지 않은경우이고 아니면 종이장판에 천연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락카나 니스를 칠하여 종이가 숨을쉬지 못해서 바닥에 습기가 차서 입니다. 바닥에서 바삭바삭 소리가 나면 방바닥 마감이 잘못된경우입니다.
(7)욕실을 살필때 욕실 벽면이나 바닥면 가장자리가 틈이 있다든지 곰팡이가 핀다든지 타일벽을 두드려서 울리는 소리가 나면 잘못된 시공으로 상당한 문제가 있습니다.
벽면에 수도꼭지가 있으면 한번틀어보고 수도꼭지가 흔들리면 안됩니다.
(8)외벽을 관찰할때 문틀부위을 세심하게 관찰하여 빗물에 씻긴흔적이라든지 자주보수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처마길이도 최소한 1.2m 이상 되는지 살펴야 합니다.
흙벽하단부가 충분한 높이가 되는지 빗물이 튀어서 손상이 있는지 살피고 벽면 흘가루가 바닥에 많이 떨어져 있는지도 살펴야 합니다.
(9) 벽면을 황토로 미장마감 한벽면은 손으로 두들겨 보고 표면이 울리면 접착상태가 좋지 않은경우 입니다. 손톱을 긁어서 쉽게 파이면 자연산 접착물질의 잘못된 배합으로 강도가 제대로 되지 않은상태입니다. 비바람에 벽면이 씻겨 나가 있는지 잘보시기 바랍니다.
(10)가중중요한것은 목재와 흙벽접한 부위를 잘관찰하여 틈이 미세하여야 하고 안쪽에서 바깥으로 보아서 빛이 보이면 잘못된 마감입니다. 바늘구멍에 황소바람이 들어옵니다.
벽면을 긁어서 잘안파이면 마감이 양호한 상태입니다.
(11)흙집은 기본적인 습기와 수축으로 잘보안된 집이 우수한 집이고 나머지는 그다음입니다.
몆가지 기본적인 상식을 가지고 흙집을 살펴보면 차후에 자신의 흙집은 좀더 보안된 만족한 흙집을 가질수가 있지 않나 싶어 참고용으로 몆가지 올려봅니다.
(1) 가급적이면 지은지 1년이 지났고 겨울에 관찰하면 윗풍을 알수가 있습니다. 흙과 목재의 수축으로 눈에 보이는 벽면 외풍은 유지보수가 쉬워 관리를 하기가 쉽지만 지붕의 서까래사이 틈이나 단열마감 미숙으로 웃풍이 많이 생길수가 있습니다. 관찰할때 실내의 공기상태를 주의를 기울려 한번맡아 보고 냄새가 어떤지 유념하셔야 합니다.
(2)외벽을 살필때 동쪽이나 남쪽벽면보다 음지인 북쪽이나 서쪽벽면을 잘보시기 바랍니다.
여름습기보다 겨울습기가 외벽에 많은영향을 줍니다. 외벽습기에 대한 방지책을 안세우면 겨울습기때 흙벽이 습기를 흡수하여 추우면 벽면이 얼면서 찬기운이 안쪽으로 전도 됩니다. 외벽두께가 얇으면 내부에서 벽면에 손을 대어 보면 벽이 얼음창처럼 차갑습니다. 날씨가 풀리면서 녹으면 어떤현상이 일어날까요...
(3)외벽색깔이 붉은색이나 분홍빛이 나면 기성황토몰탈을 사용한것이고 표면이 반질거리고 노란빛이 많이 나거나 손톱으로 긁어서 너무딱딱하면 황토드라비트나 스타코를 바른것일겁니다.
(4)내부황토벽면 노출상태인경우 손을 문질러서 묻어 나오면 마감이 잘안된상태입니다.
목재와 황토벽면 접촉부위에 손을 대어보면 외풍이 들어오는것을 느낄수가 있습니다.
(5)목재를 뼈대로 황토흙집을 지은집은 가로간목재(임방 중방 도리)가 처짐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하고 문폭이 넓은경우는 문을 열어보고 움직임이 원활한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6)실내를 걸어다닐때 바닥이 물컹대면 종이장판을 깔지 않은경우이고 아니면 종이장판에 천연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락카나 니스를 칠하여 종이가 숨을쉬지 못해서 바닥에 습기가 차서 입니다. 바닥에서 바삭바삭 소리가 나면 방바닥 마감이 잘못된경우입니다.
(7)욕실을 살필때 욕실 벽면이나 바닥면 가장자리가 틈이 있다든지 곰팡이가 핀다든지 타일벽을 두드려서 울리는 소리가 나면 잘못된 시공으로 상당한 문제가 있습니다.
벽면에 수도꼭지가 있으면 한번틀어보고 수도꼭지가 흔들리면 안됩니다.
(8)외벽을 관찰할때 문틀부위을 세심하게 관찰하여 빗물에 씻긴흔적이라든지 자주보수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처마길이도 최소한 1.2m 이상 되는지 살펴야 합니다.
흙벽하단부가 충분한 높이가 되는지 빗물이 튀어서 손상이 있는지 살피고 벽면 흘가루가 바닥에 많이 떨어져 있는지도 살펴야 합니다.
(9) 벽면을 황토로 미장마감 한벽면은 손으로 두들겨 보고 표면이 울리면 접착상태가 좋지 않은경우 입니다. 손톱을 긁어서 쉽게 파이면 자연산 접착물질의 잘못된 배합으로 강도가 제대로 되지 않은상태입니다. 비바람에 벽면이 씻겨 나가 있는지 잘보시기 바랍니다.
(10)가중중요한것은 목재와 흙벽접한 부위를 잘관찰하여 틈이 미세하여야 하고 안쪽에서 바깥으로 보아서 빛이 보이면 잘못된 마감입니다. 바늘구멍에 황소바람이 들어옵니다.
벽면을 긁어서 잘안파이면 마감이 양호한 상태입니다.
(11)흙집은 기본적인 습기와 수축으로 잘보안된 집이 우수한 집이고 나머지는 그다음입니다.
몆가지 기본적인 상식을 가지고 흙집을 살펴보면 차후에 자신의 흙집은 좀더 보안된 만족한 흙집을 가질수가 있지 않나 싶어 참고용으로 몆가지 올려봅니다.
출처 : 두레살림
글쓴이 : 강변의추억 원글보기
메모 :
'홍천 흙집 짓기 > 황토집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연을 닮은집 (0) | 2010.10.30 |
---|---|
[스크랩] Re:본원............ 황토미장 유^^ (0) | 2010.10.30 |
[스크랩] 20평ㄱ자집 (0) | 2010.10.29 |
[스크랩] 자신만의 예쁜 집 (0) | 2010.10.29 |
[스크랩] 간단한 벽난로 만드는법 (0) | 201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