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흙집 짓기/황토집 자료

[스크랩] 미래마을 대학 생태건축학교 1기 3월 24일 세번째 수업 내용 정리

ksanss@hanmail.net 2010. 11. 20. 01:20

■ 일시

10년 3월 24일 수요일

오후 6시 16분

     

 

■ 내용

▶ 환경에 적응해가는 사람

사람이 집(환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생태라는 개념은 기술적인 면으로만 접근할 수 없습니다.
마음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건축을 할때 클라이언트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건축가의 잣대에 갇히게 되면 안됩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감성적으로 클라이언트와 건축가 간의 소통입니다.

▶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개념의 생태환경? 디자인이 필요하다!

일상적으로 건축을 설계할 때 건물의 아름다움, 구조적인 안전, 성능, 에너지절약 등의 기술을 우선에
두고 제안을 했다면,생태환경건축디자인은 그것들이 왜 필요하고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제안을 하는
개념입니다.


▶ 생태환경건축은 "감성적 인지환경을 전달하는 매개체"


태양을 보면 태양의 빛은 보이지만, 열에너지는 보이지 않고 피부의 촉감이나 다른 것을
통하여 인지합니다. 이것을 건축물에 적용해보면 건축물은 보이나 내용물(삶)은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살아가면서 감성적 느낌으로 인지합니다.


▶ 생태환경건축은 빙산의 일각과 같다


빙산은 20%정도는 위쪽에 있고 나머지 부분은 물속에 80%가 있다고 합니다. 보이는 것도 중요
하지만 보이지 않는 곳까지 고민해야하고 형태속의 내용을 꽉 채울 수 있는 고민을 해야합니다.


▶ 생태환경건축은 오감에 충실해야한다.

건축은 색상, 재료가 기술적으로 혼합된 시각적 결과물을 내놓지만 생태환경건축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찾아내야 하는 작업입니다.


▶ 생태환경건축은 변화하는 환경과 함께 진화하는 것.

정체되고 절대적인 것이 아닌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고민하여 건전한 주거환경을
만들고 발전시켜가는 소통하는 건축입니다.

▶ 지식의 깊이는 다를지 모르지만, 알고는 있어야한다.

 조경/실내/건축 하는 사람들간의 소통이 없습니다. 소통이 있어야 진정한 생태건축을
할 수 있습니다.


▶ 설계의 단계

1.기획단계(프로그래밍)

- 기획 ; 인문학적 접근

  계획 ; 기술적인 접근

- 현재까지의 건축은 삶이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인문학적 감수성에 대해서는 등한시 해왔습니다.

 그동안 자연환경, 마을, 건축, 주거환경은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환경조성보다는 상업논리나 경제성을 앞세운 양적공급에 치중합니다.

 

- 어떻게 지을까 어떤분위기가 좋을까

만들고자하는 사람의 생각들을 정리하고 선물에 반영하는 것이 첫걸음 입니다.

 

▶ 좋은 건축의 시작은 소통에서 부터

1.목적 : 우리 "삶"의 질 향상, 행복 욕구 호나경  문화 전통 우리환경에 어울리는 건축.

2.수단 : 과거와 현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술들과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

3.형식 : 목적과 수단에 적합한 건축언어를 만들어 내는 것

4.관점 : 접근하는 방식에 다라 건축양식이 달라짐.

- 서양은 건축의 표준화가 가능한반면, 우리나라는 표준화가 매우 어렵습니다.(같은 집을 원하지 않는다.)

  =>개성을 중시

조건 : 건축주와 건축가, 시공자가 삼위일체가 되어야 합니다.

 

토지구입비용

대상토지의 인프라 비용

대상토지의 부대공사 비용

대상토지의 조경, 토공비용

건축공사비용

환경디자인 비용

토목설계, 인허가, 제세공과금

건축설계, 인허가 비용

디자인감리(설계가 실제로 얼마나 잘 구현되었는가), 기술감리 비용

 

+계획설계단계

-타당성검토

대지 및 건축물에 대한 법적인 내용검토

배치계획 방향성 검토

대지의 환경과 경관을 고려하여 검토

건축물 디자인 계획

 

- 기본계획설계 도서작성

- 배치도, 평면되입면도,단면도 등

- 토론, 이해, PT건축모형

- 걸계디자인 의도, 컨셉설명

- 비용(예산) 검토 조정 후 실시 설계

 

+실시설계

공사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시공자와의  의사전달 수단으로 구체적으로 도면을 작성하는 단계

-환경설계

-건축설계

-구조설계

-기계설계

-전기설계

-통신설계

-소방설계

-토목설계

-도서납품-시공사선정-디자인감리-=기술감리-준공-입주

 

▶ 견적내는 것 매우 중요!

- 면적의 맹점

; 면적이 같더라도 면에 따라 공사비가 차이가 날 수 있다.

 

 

1)공사표준시방,품세

2) 우너가산출근거

2)이위대가서

구조계산서

냉난방부하계산

시험성적서

마음씨

솜씨


▶ 자연을 활용한 생태건축

 

자연을 활용한 생태건축은 우리나라의 윤증고택을 들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처마를 활용한 에너지 절약을 들 수있는데 나라마다 해뜨는 환경은 다르지만 태양의 빛 길이는 하절기와
동절기의 해 뜨는 각도에 따라서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열 에너지의 양이 다른데 처마길이를 활용해 해의 양을 조절
한 것입니다.

 

하늘의 외기를 지키는 지붕도 있는데 지붕은 비눈이슬을 바람 시선등을 차단하고 사람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물의아름다운 디자인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지붕의 녹화는 보상이라는 말도 있는데 지붕의 녹화는 도시생태환경과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건축물 기초와 바닥의 기능은 기초의 동결선은 건축물 내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닥은 건물전체 난방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축열체 입니다. 지면과 닿아있기 때문에 습기나
각종 병충해와 관련되 있습니다.

 

벽체를 활용한 에너지 절약에서는 벽체에 축열 기능이 있어야 에너지가 절약 됩니다. 벽체에
공기층을 만들어주면 공기의 소통이 원활해져 청결한 벽체를 유지할수 있으며 곰팡이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축열 성능이 좋아집니다.

 

창은 빛과 바람의 길입니다. 태양광과 창호의 기능으로 인해 19세기 말 폐병 환자의 급증 했습니다.
급증한 이유는 도시환경 건축물 실내가 깨끗하지 못해 자외선 유입량의 부족으로 청결하지못한
실내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3월 24일 교육의 내용정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미래촌(美來村)
글쓴이 : 서욱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