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Immunity
: 생물이 항원(침입해 들어오는 이물질)의 공격에 저항하는 능력.
이 개념은 또한 생체 조직으로 침입하거나 주입되는 모든 외부 고분자물질에 대한 생체 반응을 포괄한다.
각각의 동물이나 식물은 조직의 화학성에 따라 종(種) 또는 좀더 광범위한 범주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연면역을 갖고 있다. 자연면역은 피부나 점막 등의 물리적 장벽과 생물학적 과정에 기초한다. 기름샘[皮脂腺]이나 땀샘의 분비물, 소변, 위산, 담즙산염, 담즙산 등 몸에서 분비되는 모든 분비물에는 몸에 침입하는 미생물을 억제하거나 파괴하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라이소자임은 눈물에서 발견되는 항세균성 물질이다. 어떤 물질이 이러한 비특이적 자연장벽을 통과하면 세포와 조직에서 또다른 일련의 면역체계 반응이 일어나 체조직에 눈에 띄는 변화가 일어난다. 즉 과립구(果粒球), 또는 다형핵구(多形核球)가 즉시 감염부위에 모여들어 침입한 미생물에 식세포작용(食細胞作用:삼키고 파괴해서 없애버리는 것)을 일으킨다. 순환계의 단핵구는 중간단계에서 대식세포(大食細胞)로 변하여 감염부위로 이동하여 미생물에 식세포작용을 시작한다. 이결과 염증·붉어짐·부종·고름(체액, 죽은 세포, 미생물이 모인 것)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국부적이지만 체성(體性)반응으로 발전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일반적으로 백혈구가 증가하고 열이 난다. 자연면역으로는 지속적인 저항력 또는 면역이 생기지 않는다.
자연면역반응으로 미생물의 침입을 막기가 불충분하면 2단계의 면역반응(획득면역 또는 적응면역이라고 함)으로서 감작(感作)된 대식세포와 림프구의 상호작용이 시작된다. 획득면역의 목적은 항체의 형성을 자극하여, 감염에 대한 장·단기간의 면역이 생기게 하는 것이다. 항체는 식세포작용을 증가시키고, 미생물의 독성과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며, 활성화된 보체 (complement)와 복합체를 형성해 침입한 미생물을 용해시킨다. 이러한 면역은 홍역처럼 오래 지속될 수도 있고 인플루엔자처럼 짧은 동안만 지속될 수도 있다.
면역체계의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림프구가 있는데, 이는 골수에서 만들어져서 혈액을 따라 림프 조직이나 기관, 주로 림프절·비장·편도 등으로 순환하는 백혈구다. 림프구 덕분에 생체는 무한정한 범위의 항원에 대한 반응 능력을 갖는다. 림프구의 한 유형은 B림프구 또는 B세포이다. B세포는 적절한 항원에 의해 자극되면 빠르게 증식하여, 그 항원을 중화시킬 특별한 항체(면역글로불린이라고도 함)를 만들어내는 똑같은 세포들(클론)을 형성한다. 항체는 체액에서 순환하여 체액성면역이라고 하는 보호 메커니즘을 이룬다. 또다른 유형의 림프구인 T세포는 가슴샘[胸腺]에서 만들어져 림프 조직으로 이동하는데, 항체를 만들지는 않는다. 대신에 T세포는 항원을 직접 공격하기 때문에 세포매개성면역이라고 한다. 또한 특수화된 T세포 종류는 B세포의 작용을 조절한다. 대식세포라고 하는 또다른 백혈구는 불특정한 작용을 통해 림프구를 자극하는 항원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항원 자체를 삼켜버리고 제거한다. 그밖에도 혈액 내에는 보체라는 단백질계가 있어서 항체와 결합하여 항원을 파괴시키는 작용을 한다. T세포는 또한 외부에서 이식된 조직이 수용자의 조직과 잘 맞지 않으면 이식된 조직을 인지하고 파괴한다. T세포는 암세포를 추적해 이를 제거하는 일도 한다고 생각된다.
면역은 수동적 또는 능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면역은 면역체계가 자극되지 않고 항체가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현상이다. 수동면역은 임산부에게서 태아에게로 태반을 통해 주어지거나, 초유를 통해 영아에게 전해지기도 한다. 능동면역은 항체와 림프구를 형성하여 면역체계를 자극하며, 예방접종이나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病原體)에 노출 또는 감염된 뒤 생긴다.
생체의 면역체계는 대개 자신의 구성요소는 공격하지 않는다.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데 실패하면, 류머트관절염 등의 자가면역질환(自家免疫疾患)이 생긴다. 그밖에 흔히 일어나는 면역체계 문제는 인체로 하여금 매우 감염되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1980년대초까지 이러한 질병 중 가장 유명했던 것은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이라고 하는 희귀한 질병으로, 이 병은 항체가 부족하거나 전혀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뒤로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이 면역체계 질병의 선두주자가 되었다.
면역체계Immunosystem
: 사람이나 동식물에게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하는 방법.
1차적인 목적은 항체(몸속에 침입한 항원 표면에 있는 특수한 수용체를 인지하고 결합하는 단백질 분자로서 외부에서 들어온 거대분자는 자신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들어맞는 항체와 결합함)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이다. 항원-항체반응은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가 세포 속으로 들어가기 전이나 침입한 곳에서 표적이 되는 조직으로 옮겨가기 전에 혈액 속이나 세포외액, 점막 표면 또는 바이러스 속에서 일어나는데 이 반응에 의해 항원은 성질이 바뀌거나(이것을 抗原性變調라고 함) 파괴된다. 또 면역은 림프구와 식세포의 작용도 포함하는데 이 과정을 세포면역반응 또는 세포성면역이라고 한다.
면역은 수동면역과 능동면역으로 나뉘는데, 수동면역이란 이미 면역되었거나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 또는 동물에서 채취한 감작(感作)된 혈청이 포함된 백신을 주사해 면역을 가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면역은 능동면역에 의해 몸속에서 항체가 만들어지기 전까지 우리 몸을 방어해준다. 자연수동면역은 태반을 통해 어머니의 항체가 태아에게 전달되어 생후 몇 달 동안 흔한 감염들을 이겨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출산 후 며칠 동안 나오는 초유 속에도 항체가 많이 들어 있어서 자연수동면역과 같은 방어기능을 한다.
예방접종이라고도 하는 능동면역은 특정 항원에 대해 면역성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특정 질환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되면 자연히 능동면역을 얻게 된다. 즉 어떤 질환에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은 그 질환에 대하여 면역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원인균(原因菌)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인위적으로 하는 능동면역은 독성을 약화시킨 세균이나 그 대사산물인 독소를 사람 몸속에 주사해 실제로 병을 일으키지는 않으면서 항체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1796년에 영국인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그전부터 사용되던 예방접종의 원리를 명확하게 확립했다. 그는 우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또다른 바이러스 질환인 천연두를 예방하는 데 사용했는데 이것이 기록에 남아 있는 특정 질환을 위해 사용된 최초의 백신이다. 능동면역에 사용하는 백신은 2종류가 있는데 첫째, 항원의 일부분을 이용해 항체를 만드는 것으로 독성을 약화시킨 살아 있는 항원을 이용해 생(生)백신과 완전히 죽인 항원을 이용하는 사(死)백신이 있다. 면역성을 높이는 데는 생백신이 더 좋다. 둘째, 독성을 없앤 독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항원 자체를 억제하지는 않으나 항독소를 만들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능동면역으로 항체가 만들어지는 데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므로 항원의 침입을 받기 전에 실시해야만 효과가 있다. 또 능동면역은 효과가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뒤에 같은 항원의 침입을 받거나 재접종했을 때 항체가 빨리 만들어지는 장점도 있다
'나의 이야기 > 자연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면요법이란? (0) | 2015.11.18 |
---|---|
[스크랩] 자연의학의 이해 (0) | 2015.11.18 |
[스크랩] 최면치유는 과학이다 (0) | 2015.11.18 |
[스크랩] 심신상관적인 마음치유 (0) | 2015.11.18 |
[스크랩] 몸 이야기...몸의 현상학現象學 (0) | 201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