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흙집 짓기/황토집 자료

[스크랩] 5) 굴뚝(배연부분)에 따른 분류

ksanss@hanmail.net 2011. 3. 25. 09:51

5) 굴뚝(배연부분)에 따른 분류

 



■ 간이형
본격적인 굴뚝의 전단계로서 처마밑에 간단한 구멍을 뚫거나 툇마루 밑에 구멍을 내어 배기하는 것으로 민가의 굴뚝은 대부분 간이형이라 할 수 있다.
(일공식)
하나의 고래에 하나의 굴뚝
(이공식)
하나의 고래에 두개의 굴뚝이 있는 경우로 구들개자리 양쪽에서 연도를 빼는 형식
(다공식)
줄고래일 경우 각각의 고래마다 배연공을 두고 있는 형식
(무공식)
제주도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거의 배연구가 없는 모양

■ 독립형
건물 벽에서 5-9척 정도 떨어진 곳에 연도를 땅 속으로 매입하여 독립적으로 굴뚝을 세운 것으로 벽돌을 쌓아올려 기와를 덮 고 연가를 얹어 완성하였다. 이러한 형태 중에는 여러개의 굴뚝이 뒤편 후원에 모여있는 형태도 있다.

■ 복합형
담장의 일부가 굴뚝의 역할을 하거나 방벽이 굴뚝의 역할을 하는 형식으로 궁궐 전각에는 정원과 함께 굴뚝이 어우러진 경우 도 있다.


[5-2-5-a] 간이형 굴뚝



[5-2-5-b] 간이형 굴뚝



[5-2-5-c] 독립형 굴뚝


[5-2-5-d] 복합형 굴뚝

■ 굴뚝의 지역별 높이에 따른 고찰
굴뚝의 높이는 남부지방으로 내려올수록 낮아지는데 취사보다는 난방이 중요한 북쪽에서는 많은 열을 내도록 굴뚝이 높고, 취 사가 위주인 남쪽지방에서는 굳이 굴뚝을 높이 올릴 필요를 느끼지 못해서 굴뚝을 낮게 하거나 없앤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사람 숲에 있어도 사람이 그립다
글쓴이 : 曉園 원글보기
메모 :